2014. 9. 28. 22:16ㆍ주간농사 정보
◈ 마늘 재배의향은 전년, 평년보다 각각 2%, 4% 감소
❍ 농업관측센터 표본농가 조사 결과(9.19), 한지형과 난지형 마늘 재배의향이 각각 2%, 1% 감소하여
2015년산 마늘 전체 재배의향 면적은 2014년산보다 2% 감소 전망
- 지역별로 난지형 남도종 주산지인 호남과 제주의 재배의향 감소, 대서종 재배의향 증가로 영남은 증가 전망
❍ 2015년산 한지형·남도종 마늘 재배 감소, 대서종은 증가 전망
- 난지형 마늘 가운데 남도종은 농가수취가격 하락과 생산비 부담으로 재배의향이 감소,
출하기 산지가격 상승으로 대서종 재배는 증가 전망
◾<2015년산 마늘 재배면적 2014년산 대비 증감률> (단위: %)
구분 |
충청 |
호남 |
영남 |
제주 |
전체 |
한지 |
-6.0 |
- |
0.1 |
- |
-2.2 |
난지 |
11.5 |
-3.9 |
4.8 |
-12.2 |
-1.3 |
전체 |
1.2 |
3.9 |
3.7 |
12.2 |
1.5 |
자료: 농업관측센터, 9월 19일 표본농가 조사치
❍ 농업관측센터 재배의향에 의한 2015년산 마늘 재배면적은 금년보다 2%, 평년보다 4% 감소한 24,687ha 추정
◾<2015년산 마늘 추정 재배면적>
구분 |
한지형(ha) |
난지형(ha) |
전체(ha) | |
2015 |
5,168 |
19,519 |
24,687 | |
2014 |
5,282 |
19,780 |
25,062 | |
평년 |
5,668 |
20,089 |
25,757 | |
증감률 (%) |
금년대비 |
-2.2 |
-1.3 |
-1.5 |
평년대비 |
-8.8 |
-2.8 |
-4.2 |
자료: 통계청, 2015년산은 농업관측센터 추정치
◈ 양파 재배의향은 전년, 평년보다 각각 10%, 2% 감소
❍ 농업관측센터 표본농가 및 모니터 조사 결과(9.19), 2015년산 양파재배의향면적은 2014년산과 평년보다 각각 10%, 2% 감소
- 품종별로는 조생종이 2014년산보다 소폭 감소, 중만생종은 11% 감소, 평년 대비는 조생종이 14% 감소, 중만생종은 비슷
- 2014년산 양파 가격 하락으로 재배의향면적 감소, 파종기에 근접하여 재배면적을 줄인 농가들이 많아 8월 말 조사치
(2014년산 대비 –6%)보다 감소폭 확대
- 종자업체 조사결과(9월 22일), 양파 종자 판매량은 전년보다 10% 이상 감소한 것으로 조사됨
◾<2015년산 양파 재배면적 2014년산 대비 증감률> (단위: %)
구분 |
충청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전체 |
조생종 |
- |
-1.1 |
-4.1 |
- |
- |
2.7 |
-1.4 |
중만생종 |
-0.2 |
-14.8 |
-10.0 |
-10.7 |
-14.2 |
-11.3 |
-11.0 |
전체 |
-0.2 |
-13.3 |
-9.1 |
-10.7 |
-14.2 |
0.8 |
-9.8 |
자료: 농업관측센터, 8월 20일 표본농가 조사치
❍ 2015년산 양파 재배면적은 2만 1,567ha로 추정
- 2014년산 재배면적은 2013년산 대비 3,875ha 증가,
2015년산 재배면적은 2014년산 대비 약 2,300ha 감소
◾<2015년산 양파 추정 재배면적>
2015년 |
2014년 |
평년 |
증감률(%) | ||
2014년 대비 |
평년 대비 | ||||
21,567ha |
23,911ha |
22,018ha |
-9.8 |
-2.0 |
자료: 통계청, 주: 2015년산은 농업관측센터 추정치
'주간농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주간농사정보 제42호(2014.10.19 ~ 10.25) (0) | 2014.10.18 |
---|---|
◈ 주간농사정보 제 41 호, [2014.10.5 ~ 10.18 ] (0) | 2014.10.12 |
◈ 주간농사정보(제40호, 2014.9.28~2014.10.4) (0) | 2014.09.28 |
◈ 주간농사정보(제39호, 2014.9.21~2014.9.27) (0) | 2014.09.20 |
◈ 금주의 농사정보[9월2째주] (0) | 2014.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