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6. 28. 17:37ㆍ정보
오늘의 Biz & Tax 스토리
피상속인(상속하는 자)인 아버지가 생전에 가입해 둔 생명보험의 보험금을 상속인(상속받는 자)인 자녀가 받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부채가 상속재산 보다 많거나 하는 이유로 상속인이 상속포기 또는 한정승인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도 생명보험금은 받을 수 있습니다. 생명보험금은 엄연히 상속인의 고유재산이기 때문입니다.
-생명보험금도 상속재산-
피상속인의 사망으로 인해 지급 받은 생명보험 또는 손해보험금의 보험금을 피상속인이 보험계약자가 된 보험계약에 의해 지급받는 것은 상속재산으로 봅니다.
보험계약자가 피상속인이 아니더라도 피상속인이 사실상 보험료를 지불했을 때에는 피상속인을 보험계약자로 보아 이를 상속재산으로 보고 있습니다.
-채권자가 있어도 생명보험금에 압류 불가-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보험계약자가 피보험자의 상속인을 보험수익자로 계약한 생명보험의 경우, 이 상속인은 피보험자의 사망이라는 보험사고가 발생한 때 보험수익자의 지위에서 보험금 지급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속인이 피상속인으로부터 보험금을 상속받았다면 피상속인의 채권자가 있다 하더라로 생명보험금에 대해 압류할 수 없습니다. 이 권리는 보험계약의 효력으로 당연히 생기는 것이므로 생명보험금은 상속재산이 아니라 상속인의 고유재산이기 때문입니다.
-보험금에 상속세 내는 경우 있어-
보험금은 본래 상속재산은 아니나 간주상속재산(보험금, 신탁재산, 퇴직금 등)입니다. 때문에 상속세를 내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 계약서를 잘 확인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사망보험금을 받을 때 피상속인이 보험료 전액을 다 납입하고 보험금을 상속인이 받는다면 전액이 상속재산으로 잡힙니다.
-상속재산으로 보는 보험금의 계산-
보험금 수령액 X 피상속인이 납부한 보험료액 / 피상속인이 사망시까지 납부한 보험료의 총액 |
즉 피상속인이 불입한 보험료가 상속세 대상이 됩니다. 따라서 계약자와 수익자는 보험료 불입능력인 있는 상속인으로 하고, 피보험자는 피상속인으로 설정해야 상속세 과세대상에서 제외되므로 계약자, 수익자 등이 상속인으로 되어 있는지 미리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여름 장마철 차량 침수 관련 자동차보험 상식 8가지 (0) | 2014.07.11 |
---|---|
◈ [한국산업인력공단] 7월의 국가자격시험 소식 (0) | 2014.07.06 |
[스크랩] 010 빼고 전화걸면 요금 덜 나온답니다 (0) | 2014.06.22 |
◈ "이젠 펑크 두렵지 않다" 타이어의 끝없는 진화 (0) | 2014.06.07 |
◈ 파라코드 팔찌 만들기 (0) | 2014.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