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빈센트병원] 소아 수면무호흡증, 침 검사를 통한 심각도 예측 가능성 확인

2014. 8. 17. 18:43건강정보

소아 수면무호흡증, 침 검사를 통한 심각도 예측 가능성 확인

-수면 무호흡 심할수록 아침과 밤 알파아밀라아제 폭 커져-

 

 

 

   

침 검사만으로도 수면 무호흡증의 심각도 예측이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비인후과 박찬순 교수는 최근 소아 67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에서 수면 무호흡이 심한 소아 환자일수록 아침과 밤의 침 속 알파아밀라아제 양에 큰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수면무호흡증후군과 수면호흡장애는 수면 단절로 인해 깊은 수면을 방해하고, 꿈꾸는 수면으로 알려진 REM수면 또한 감소시켜, 부신교감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박찬순 교수는 부신교감신경계의 활성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인 침 속 알파아밀라아제를 이용해 수면다원화검사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했다. 환자들은 이비인후과적인 검사를 비롯해 수면다원화검사를 받았으며, 수면다원화검사를 시작하기 전인 밤과 검사가 끝나는 이른 아침 모두 2번에 걸쳐 침 검사를 시행했다.

   

그 결과, 심한 수면 무호흡증후군 소아는 정상군에 비해 아침과 밤의 침 속 알파아밀라아제 양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침과 밤의 침 속 알파 아밀라아제 비율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비인후과 박찬순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침 속 알파아밀라아제 검사가 수면호흡장애가 의심되는 소아에서 이를 예측하는 선별검사로 유용하며, 수면호흡장애의 진단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라며 연구를 위해 도움을 준 환자 및 보호자에게 이 자리를 빌어 감사하다고 말했다.

   

한편, 박찬순 교수의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수면학회 연구지(Journal of Clinical Sleep Medicine) 5월호에 게재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