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5. 13. 21:57ㆍ약초보감
-신규 기능성 물질 분리하고 구조 밝히는데 성공 - □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오갈피 열매에서 분리한 물질이 혈관노화 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혈관세포실험을 통해 입증했다.
□ 농촌진흥청 인삼특작이용팀에서는 오갈피 열매의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한 결과, 새로운 화합물인 아칸토세실린 A(Acanthosessilin A)를 분리하고 구조를 밝히는데 성공했다. ○ 또한 사람의 혈관내피세포(HUVEC) 실험을 통해 아칸토세실린 A가 혈관세포 노화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 세포 실험에 앞서 혈관내피세포에 독성을 조사한 결과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안전한 수준이었다. ○ 세포 실험에서는 혈관내피세포에 노화를 유도하는 물질(아드리아마이신)을 넣은 뒤 여기에 노화를 회복하는 약물(라파마이신)을 투입해 양성대조구로 삼았다. ○ 오갈피 열매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노화된 혈관내피세포에 주입한 결과, 아칸토세실린 A는 1ug/ml 아주 낮은 농도에서 양성대조구와 비교 시 동등 이상의 수준으로 세포 노화가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혈관내피세포는 노화가 진행되면서 세포 노화의 표지로 잘 알려진 SA-β-Gal(senescence associated beta-galactosidase) 활성이 높아진다. ○ 오갈피 열매에서 분리된 화합물은 이를 억제하고 늦춰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유용한 천연물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번 연구결과는 특허 출원됐으며 앞으로 동물실험과 인체적용시험 연구를 확대할 계획에 있다.
□ 예로부터 한방에서 오갈피는 간과 신장의 기운을 보하여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므로 사지마비, 허리와 무릎의 연약증상, 골절상, 타박상, 부종 등에 쓰인다고 전해져 왔다. ○ 특히, 오갈피 열매는 서리가 내려 자흑색으로 익으면 수확하는데, 열매는 추풍사(追風使: 풍을 몰아내는 사자)라고 해서 어혈, 중풍 등의 각종 혈관건강관련 증상의 치료에 효과적인 소재이다. □ 농촌진흥청 인삼특작이용팀 이대영 박사는 “이번 성과로 국내 오가피 열매를 활용해 혈관 건강을 위한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을 개발하고 고부가가치 천연물 신약 개발에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라며, ○ 또한 “오가피 열매의 기능성분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 정부3.0의 핵심과제인 고객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라고 말했다. 특허출원번호: 10-2015-0055822, 특허명: 오가피 열매 유래 물질이 포함된 혈관노화 예방 또는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참고자료> 오갈피열매와 혈관 노화 개선 효능 ○ 오갈피(Acanthopanax spp)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활엽 관목으로, 학명의 Acantho는 가시가 있는 나무를, panax는 만병을 치료한다는 뜻으로, 높이가 2∼3m에 달하고 10월경에 결실이 되는 내한성 식물 ○ 오갈피 열매는 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전 지역에서 자생 및 재배하여 원료의 확보가 용이하지만,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그 기능과 효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 노화된 혈관세포 실험에서 아칸토세실린 A의 투여군은 양성대조구(Rapamycin)과 비교한 결과, 아주 낮은 농도에서부터 아칸토세실린 A의 농도가 높을수록 혈관노화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했다.
'약초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갈퀴덩굴의 효능 (0) | 2015.05.27 |
---|---|
[스크랩] 약차.약술 담그는 법 (0) | 2015.05.17 |
◈ 약초채취 및 복용시 유의할점 (0) | 2015.04.10 |
◈ 까마중의 효능 (0) | 2015.03.29 |
◈ 한국의자생식물 (0) | 201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