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약초 및 작물 뿌리혹선충

2013. 1. 31. 14:50신품종. 신기술

뿌리혹선충

 

기관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성명 : 이재국

전화 : 031-290-0433

 

뿌리혹선충은 선형동물문 측관강 참선충목 뿌리혹선충과의 해충이다. 뿌리혹선충이 최초로 발견된 곳은 영국이다. Berlkoley(1855)가 영국의 유리온실의 오이뿌리에서 최초로 뿌리혹이 있는 것을 발견하였고, 당시에는 미소곤충으로 명명되어 보고된 것이 시작이다. 브라질의 Jobert(1877)은 리오데쟈네이로의 커피나무에 혹을 발견하고 병으로 보고하였다. 1924년에 Cobb는 Heterodera와 Meloidogyne을 구별 형태적으로 확실하게 하여 보고하였다. Chitwood(1949)의 확인 보고로 Heterodera과명을 버리고 Meloidogyne과명으로 확정하여 발표하였다. 현재 세계적으로 50여종이 보고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37년 橫尾에 의하여 뽕나무 묘에서 최초로 발견되었다. 현재 Meloidogyne hapla등 4종이 보고 되어 있다. 근래에는 노지 뿐만아니라 시설재배면적의 증가로 인하여 뿌리혹선충의 분포 및 밀도가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시설재배지에서는 고구마뿌리혹선충의 분포 및 밀도가 보다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선충의 피해가 심한 일부포장에서는 전혀 수확을 할 수 없는 정도의 극심한 피해를 나타내는 포장도 나타나고 있다.

 

 

1. 주요 뿌리혹선충의 학명

가. 당근뿌리혹선충

○ 학명 : Meloidogyne hapla Chitwood, 1949

○ 영명 : northern root-knot Nematode

 

나. 고구마뿌리혹선충

○ 학명 : Meloidogyne incognita (Kofold & White, 1919) Chitwood, 1949

○ 영명 : southern root-knot nematode

 

다. 땅콩뿌리혹선충

○ 학명 : Meloidogyne arenaria(Neal, 1889) Chitwood, 1949

○ 영명 : peanut root-knot nematode

 

 

2. 기주식물

가. 채소류

토마토, 수박, 메론, 참외, 당근, 고추, 딸기, 양배추, 배추, 파셀리, 양파, 부추, 근대, 시금치, 오이, 호박, 피망, 후추, 생강, 순무

 

나. 식량작물

벼, 보리, 밀, 기장. 옥수수, 감자, 고구마, 참깨, 들깨, 토란, 마, 사탕수수,

사탕무, 동부, 강낭콩, 대두, 완두

 

다. 화훼

장미, 코스모스, 수선, 네오로프테리스, 모란, 샤스타테이지, 세이프리야자, 플 루메리아, 페라코늄, 카나리아 야자, 알로에, 틈나리, 아젤리아, 아스파라거스, 신고디움, 글라디올러스, 안개초, 스토크, 카네이션

 

라. 약초

인삼, 담배, 강활, 골담초, 목향, 구기자, 당귀, 백운동, 사삼, 길경, 백지, 복분자, 산수유, 시호, 오미자, 작약, 큰용담, 자금우, 백량금, 방풍, 두충, 천궁

 

마. 기타

작물류, 수목류, 잡초등 2,000여종

 

 

3. 분포지역

전세계적으로 가장 광범위한 지역에서 발생되고 있다. 유럽, 지중해연안 구소련, 캐나다, 미국,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호주, 아시아 등. 전세계에서 분포하고 있으며 국내분포를 보면 뿌리혹선충의 종별 발생차이는 있으나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4. 피해

메론, 수박 토마토 등 과채류, 당근 등의 근채류, 상추, 셀러리 등의 엽채류, 고구마, 감자 등의 식량작물과 화훼류의 장미, 카네이션 등에서 광범위하게 피해를 주고 있으며 약용식물에서도 발생이 심하다. 뿌리에 침입한 2령유충은 이동 분산하여 정착한 후 유충은 특수한 생리활성물질은 방출하여 거대세포(다핵세포)를 형성하게 된다. 거대세포쪽으로 양분이 집중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 결과 식물자체는 영양실조에 이르게 되고 혹이 형성된 뿌리는 양분과 수분의 흡수기능이 저하된다. 이러한 지하부의 피해가 클수록 지상부의 생물이 빈약하여지며 절간이 왜화되고 엽색이 변하며 낙엽이 조기에 이루어진다.

 

 

5. 형태

○ 성충암컷 : 체장400~1000㎛

○ 체폭 : 300~600㎛

○ 구침길이 : 10~16㎛

 

내부기생성 선충으로 몸통은 둥글고 목이 돌출되어 있어 서양배모양이며 두부의 head cap밑에 2~3개의 주름이 있다. 구침과 구침절구가 있으며 구침절구는 둥글며 배설공은 절구의 후방에 있다.

 

그림 1. 뿌리혹선충의

피해(당근)

그림 2. 뿌리혹선충의

암컷

그림 3. 뿌리속의 뿌리혹

선충의 성충

 


그림 1. 뿌리혹선충의
피해(당근)

그림 2. 뿌리혹선충의
암컷

그림 3. 뿌리속의 뿌리혹
선충의 성충

 

 

6. 생태(생활사)

제2령유충이 기주식물의 뿌리에 침입하여 두부주위에 발생한 거대세포(다핵세포)를 흡수함으로서 점차 팽창되어 서양배모양으로 되고 알에서 4회 탈피하여 성충이 된다. 제3령, 4령유충은 구침이 없어졌다가 성충기에 다시 나타난다. 암컷성충은 일주일간에 수백개의 알을 알주머니속에 낳는다. 25℃전후의 적당한 조건에서 침입후 4~5주이내에 일세대를 완료한다. 뿌리혹선충이 기주식물에 침입적온은 15~20℃, 뿌리혹의 형성은 25~30℃에서 최성기를 생육적온은 20~25℃이고 30℃이상에서 기생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또한 뿌리혹선충은 단위생식을 하기 때문에 적합한 조건에서는 침입한 유충 모두가 암컷성충이 되지만 기주의 영양상태, 환경 등이 불량하면 수컷의 출현율이 높아진다.

 

 

7. 방제

가. 화학적 방제

아직까지는 D-D등의 훈증제에 의한 살선충제의 사용이 세계적으로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우리 나라에서는 현재 훈증제를 생산하고 있지 않으며 입제로서 6종의 살선충제가 고시되여 사용되고 있다.

 

나. 태양열을 이용한 방제

이 방법은 여름철 고온기에 유기물, 담수 등의 처리후 비닐로 하우스를 완전 밀폐시켜 토양중의 선충 등 병해충을 방제하는 물리적 수단이다. 처리시기는 7월 하순부터 8월 하순의 최고 더운 시기를 택하여야 한다. 경운 및 두둑을 만들어 유기물을 투입하거나 또는 살선충제를 시용한후 땅표면을 비닐피복후 물을 고랑에 넣어 토양중의 공극을 채운 뒤에 하우스를 완전 밀페하여 1개월간 보온성을 최대로 높인다.

           

그림 4. 태양열 소독

 

 그림 4 태양열 소독

 

다. 유기물시용

선충의 이동은 퇴비가 많으면 많을수록 장해를 받는다. 퇴비시용구 포장에서는 뿌리혹선충이 기주로 침입한 기생수가 화학비료처리구보다 적고, 침입선충의 발육도 늦어지며, 수컷의 출현률도 현저하게 높게 나타난다. 퇴비시용의 증가에 따라 뿌리혹의 양이 감소된다.

 

라. 저항성품종의 재배

저항성품종을 재배할 경우 기생선충이 감소되는 이유는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뿌리에 침입하더라도 저항성 품종에서는 도중에 발육이 중단되어 사멸되기 때문이다.

 

마. 답전윤환

밭에 기생하는 뿌리혹선충은 침수상태에서 장기간 생존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답전윤환이 가능한 포장에서는 선충방제방법으로 활용한다. 논과 밭을 교호적으로 사용하는 토양에서 뿌리혹선충의 밀도가 높지 않다.

 

바. 세균에 의한 방제

대표적인 것이 Pasteuria penetrans이다. 본 세균은 선충의 밀도 억제작용, 포자착생 유충의 이동성과 기주식물에 침입을 저하시키고 이병성 암컷의 치사로 번식을 저해하게 된다. 현재 경제적 대량 배양법의 확립되면 바로 우수한 생물농약으로 보급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