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밭에 발생하는 잡초의 종류

2013. 12. 11. 13:55신품종. 신기술

 밭에 발생하는 잡초
기관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성명 : 김창석
전화 : 031-290-0560

 

우리나라 밭작물 재배 주산단지를 대상으로 실시한 밭 잡초를 조사한 결과, 국내 밭 잡초 과별 분포 종은 표 1과 같이 총 33과 112종이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 중에서 국화과(Asteraceae)가 25종이 발생하여 전체 약 22%를 차지하여 가장 발생종수가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화본과(Poaceae) 14종, 마디풀과(Polygonaceae) 9종, 메꽃과(Convolvulaceae) 7종, 사초과(Cyperaceae) 6종, 콩과(Fabaceae) 5종, 그리고 십자화과(Brassicaceae), 명아주과(Chenopodiaceae), 꿀풀과(Lamiaceae)가 각각 4종순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어 발생종의 종류 면에서 볼 때 국내 발생 밭 잡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10년 전의 장 등이 조사한 결과에서는 34과 122종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이중에서 국화과 14종이, 화본과가 9종이 발생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종의 수에 차이를 보이는 원인은 유사종에 대한 정확한 동정능력과 조사 지점수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밭 잡초 발생 종은 전체적으로 볼 때 10년 전과 비교하면 비슷한 발생 경향을 보여 주었다.

 

과별 발생종수를 조사한 결과는 표 2와 같이 가장 발생종이 많은 국화과 25종 중에서 일년생잡초는 망초 및 개망초, 서양민들레, 미국가막사리, 단풍잎돼지풀이 중요한 잡초이고, 다년생잡초로는 쑥이 포함된다. 국화과 밭 잡초에는 특히 서양민들레, 단풍잎돼지풀, 붉은서나물 등 외래잡초가 다수 포함되어 있어 잡초방제 측면에서 중요하다.

 

화본과 중에서는 바랭이류, 강아지풀류가 대부분인데 이들 잡초는 밭잡초로서 발생량이 많고 방제상 매우 중요한 잡초들이다. 바랭이류의 발생잡초는 바랭이, 왕바랭이, 민바랭이가, 강아지풀류에서는 강아지풀, 가을강아지풀, 수강아지풀, 주름강아지풀이, 피는 돌피, 물피가 발생하고 있었다.

 

마디풀과는 여뀌류의 발생이 많은 경향을 보이는데 발생 잡초로는 여뀌, 산여뀌, 개여뀌, 봄여뀌 및 솜흰여뀌가 발생하고 있었다.

 

다년생잡초로는 소리쟁이와 참소리쟁이가 발생되고 있었다. 특히, 마디풀과의 소리쟁이류는 다년생잡초로 방제가 어려운 난방제 잡초로 알려져 있으며 여뀌류를 포함해서 최근에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잡초중의 하나이다.

 

메꽃과는 7종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주로 메꽃류와 나팔꽃류로서 메꽃류에서는 메꽃, 큰메꽃, 애기메꽃이 발생하였고, 나팔꽃류는 둥근잎나팔꽃, 미국나팔꽃 및 둥근잎미국나팔꽃이 발생하였다. 특히 메꽃류는 다년생잡초로써 방제가 매우 어려운 밭 잡초중의 하나다.

 

그리고 사초과 잡초에서는 6종이 발생하였는데 대부분이 방동사니류이었으며 발생잡초로는 방동사니, 참방동사니, 금방동사니 및 나도방동사니가 발생하였으며 방동사니류도 밭작물 재배 시 다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중요한 잡초중의 하나로 방제 대책이 요구되는 잡초이다.

 

 

 

 

 

표 1. 국내에 발생한 밭 잡초에 대한 과별분류 (농과원 : 2002)

 

과 명(국 명)
종 수
비 율(%)

Asteraceae (국화과)

25
22.3

Poaceae (화본과)

14
12.5

Polygonaceae (마디풀과)

9
0.8

Convolvulaceae (메꽃과)

7
0.6

Cyperaceae (사초과)

6
0.5

Fabaceae (콩과)

5
0.5

Brassicaceae (십자화과)

4
0.4

Chenopodiaceae (명아주과)

4
0.4

Lamiaceae (꿀풀과)

4
0.4

Euphorbiaceae (대극과)

3
0.3

Scrophulariaceae (현삼과)

2
0.2

Solanaceae (가지과)

2
0.2

Amaranthaceae (비름과)

2
0.2

Oxalidaceae (괭이밥과)

2
0.2

Geraniaceae (쥐손이풀과)

2
0.2

Malvaceae (아욱과)

2
0.2

Cannabinaceae (삼과)

2
0.2

Onagraceae (바늘꽃과)

2
0.2

Portulacaceae (쇠비름과)

1
0.1

Equisetaceae (속새과)

1
0.1

Araceae (천남성과)

1
0.1

Apiaceae (산형과)

1
0.1

Aizoaceae (석류풀과)

1
0.1

Commelinaceae (닭의장풀과)

1
0.1

Crassulaceae (돌나물과)

1
0.1

Papaveraceae (양귀비과)

1
0.1

Asclepiadaceae (박주가리과)

1
0.1

Violaceae (제비꽃과)

1
0.1

Caryophyllaceae (석죽과)

1
0.1

Urticaceae (쐐기풀과)

1
0.1

Boraginaceae (지치과)

1
0.1

Plantaginaceae (질경이과)

1
0.1

Rosaceae (장미과)

1
0.1
계 (33과)
112종
100

 

 

 

 

표 2. 국내에 발생한 밭 잡초의 과별 종 및 생활형 (농과원 : 2002)

과 명
학 명 (국 명)
생활형
국화과 (25)
Eclipta prostrata (한련초)
Siegesbeckia pubescens (털진득찰)
Centipeda minima (중대가리풀)
Senecio vulgaris (개쑥갓)
Artemisia princeps (쑥)
Bidens frondosa (미국가막사리)
Taraxacum officinale (서양민들레)
Erigeron annuus (개망초)
Conyza canadensis var. canadensis (망초)
Galinsoga quadriradiata (털별꽃아재비)
Hemistepta lyrata (지칭개)
Youngia japonica (뽀리뱅이)
Artemisia capillaris (사철쑥)
Bidens bipinnata (도깨비바늘)
Siegesbeckia glabrescens (진득찰)
Ambrosia trifida (단풍잎돼지풀)
Ixeris dentata (씀바귀)
Youngia sonchifolia (고들빼기)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왕고들빼기)
Aster pilosus (미국쑥부쟁이)
Breea segeta (조뱅이)
Taraxacum platycarpum (민들레)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돼지풀)
Helianthus tuberosus (뚱딴지)
Erechtites hieracifolia (붉은서나물)
일년생
일년생
일년생
일년생
다년생
일년생
다년생
월년생
월년생
일년생
월년생
월년생
다년생
일년생
일년생
일년생
다년생
일년생
월년생
다년생
다년생
다년생
일년생
다년생
일년생
화본과 (14)
Panicum dichotomiflorum (미국개기장)
Digitaria violascens (민바랭이)
Eleusine indica (왕바랭이)
Digitari a ciliaris (바랭이)
Echinochloa crus-galli (돌피)
Echinochloa crus-galli var.
caudata (물피)
etaria viridis var. major (수강아지풀)
Panicum bisulcatum (개기장)
Eragrostis multicaulis (비노리)
Setaria faberi (가을강아지풀)
Setaria viridis (강아지풀)
Eragrostis pilosa (큰비노리)
Setaria viridis var. major (가락지조)
Setaria pumila (주름금강아지풀)
일년생
일년생
일년생
일년생
일년생
일년생
일년생
일년생
일년생
일년생
일년생
일년생
일년생
일년생

 

 

 

과 명

 

학 명 (국 명)

 

생활형
꿀 풀 과 (4)
Elsholtzia ciliata (향유)
Stachys riederi var. japonica (석잠풀)
Mosla punctulata (들깨풀)
Leonurus japonicus (익모초)
일년생
다년생
일년생
일년생
대 극 과 (3)

Acalypha australis (깨풀)
Chmaesyce maculata (큰땅빈대)
Chamaesyce humistarar (애기땅빈대)

일년생
일년생
일년생
현 삼 과 (2)

Mazus pumilus (주름잎)
Lindernia procumbens (밭뚝외풀)

일년생
일년생
가 지 과 (2)

Solanum nigrum (까마중)
Solanum americanum (미국까마중)

일년생
일년생
비 름 과 (2)

Amaranthus blitum (개비름)
Amaranthus hybridus (가는털비름)

일년생
일년생
괭이밥과 (2)

Oxalis corniculata (괭이밥)
Oxalis stricta (선괭이밥)

일년생
일년생
쥐손이풀과 (2)

Erodium moschatum (유럽쥐손이풀)
Geranium thunbergii (이질풀)

일년생
다년생
아 욱 과 (2)

Hibiscus trionum (수박풀)
Abutilon theophrasti (어저귀)

일년생
일년생
삼 과 (2)

Humulus japonicus (환삼덩굴)
Cannabis sativa (삼)

일년생
일년생
바늘꽃과 (2)

Ludwigia prostrata (여뀌바늘)
Oenothera biennis (겹달맞이꽃)

일년생
월년생
쇠비름과

Porthlaca olaeracea (쇠비름)

일년생
속 새 과

Equisetum arvense (쇠뜨기)

다년생
천남성과

Pinellia ternata (반하)

다년생
산 형 과

Torilis japonica (사상자)

월년생
석류풀과

Mollugo pentaphylla (석류풀)

일년생
닭의장풀과

Commelina commulis (닭의장풀)

일년생
돌나물과

Sedum sarmentosum (돌나물)

다년생
양귀비과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애기똥풀)

월년생
박주가리과

Metaplexis japonica (박주가리)

다년생
제비꽃과

Viola mandshruica (제비꽃)

다년생
석 죽 과

Stellaria aquatica (쇠별꽃)

월년생
쐐기풀과

Pilea mongolica (모시물통이)

일년생
지 치 과

Trigonotis peduncularis (꽃마리)

월년생
질경이과

Plantago asiatica (질경이)

다년생
장 미 과

Potentilla supina (개소시랑개비)

월년생

 

 

십자화과 잡초는 밭작물 재배 시 4종이 발생하였는데 속속이풀, 냉이, 황새냉이 및 꽃다지가 발생하고 있었으며 이들 잡초는 모두 월년생 잡초이며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밭 잡초 중 가장 최근에 발생이 많아 밭 잡초 내에서 군락변이 폭이 큰 잡초로 알려져 있으며 종자번식을 하는 일년생잡초로 직근 형태의 뿌리로 생육하므로 약제방제가 어려운 잡초로 금후 이들 잡초에 대한 근본적인 방제대책 일환으로 발생 생태 등 기초연구가 시급히 요구된다.

 

명아주과에는 명아주, 좀명아주 및 흰명아주가 발생하고 있었으며 이들 잡초 역시 발생량이 매우 많은 중요한 밭잡초 들이다. 그 이외에 발생특성으로 발생종수는 적으나 단일 초종으로 발생량이 많은 잡초로는 대극과의 깨풀과 비름과의 개비름과 가는털비름, 삼과의 환삼덩굴, 쇠비름과의 쇠비름, 속새과의 쇠뜨기, 석죽과의 쇠별꽃이 여기에 속한다. 이들 잡초 중에서 대극과의 깨풀은 약제 방제효과가 낮고 작물 생육기내 발생기의 폭이 넒은 매우 특이한 잡초이다.

 

밭에 발생하는 외래 잡초로 가는털비름과 양귀비과의 애기똥풀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지속적이 모니터링이 필요한 잡초로 조사되었다.

 

밭 잡초의 군락특징 으로는 국화과를 포함해서 33과가 발생하여 다양한 밭 잡초가 발생하고 있었으며 발생 종수로는 국화과, 화본과, 마디풀과 및 메꽃과 잡초가 발생 종수가 많은 중요한 과이었으며 외래 잡초로는 단풍잎돼지풀 등 14종이 발생하고 있었다.

 

 

참 고 문 헌
농촌진흥청. 2005. 농경지 발생잡초 정밀조사.
박재읍 외. 2003. 최근 한국의 밭잡초 발생특성. 한국잡초지 23(3) : 277~284.

** 내년에는 놀이터에 참나물.황기.참당귀.잔대를 심어 식구들의 건강을 챙겨야 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