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진백피 (물푸레나무)

2013. 7. 8. 20:40약초보감

진피(秦皮) 물푸레나무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간경, 담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눈을 밝게 한다.

간열도 없앤다.

 

 

 

성분 에스쿨린과 에스쿨렌틴은 혈압을 높이고, 장윤동운동을 억제하며

이뇨작용, 피응고억제작용을 나타내고,

에스쿨린은 염증없애기작용을, 에스쿨레틴은 열물내기작용을 나타낸다.

 

습열설사, 이질, 이슬, 자궁출혈, 장출혈 등에 쓴다.

급성 및 만성대장염, 세균성적리, 위염, 기관지염 등에도 쓴다.

하루 6~12그램을 달임약, 알약 형태로 먹는다.

 

- 동의학 -

 

 

진피는 맛은 쓰고 성질은 차가운 약으로

열을 내리고 습을 말리는 약재이다.

 

열을 내리고 습을 말리는 동시에 간과 담에 있는 열을 내려주고

간의 열로 인한 눈의 통증이나 이상 증세에 많이 응용된다.

 

뇨산증, 이질, 장염, 여성의 대하 등

습열이 원인이 되는 질환과 설사등에 이용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무독(無毒), 맛이 매우 쓴 편이기 때문에

위장이나 소화기가 약한 사람은 소화기 약재와 같이  사용하여야 하며 비위가 차가운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진백피(秦白皮), 백심목피(白心木皮)라고도 한다.

 

기원】

  이 藥은 木犀科(물푸레나무과 ; Oleaceae)에 속한 落葉喬木인 물푸레나무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白蜡樹 F. chinensis ROXB. 및 同屬 近緣植物의 枝皮와 幹皮(樹皮)를 건조한 것으로, 봄과 가을에 벗겨 晒乾한다.

【설명】

  落葉喬木으로 높이는 10m 정도이다. 樹皮는 회갈색이고 비교적 매끄럽고 老木이 되면 얕은 裂目이 나온다. 小枝 또한 매끄럽고 皮孔은 희소하고 闊橢圓形이다. 芽는 短闊하고 갈색 絨毛로 덮여 있다. 奇數 羽狀複葉으로 對生한다. 葉軸은 光滑하고 毛가 없다. 小葉은 筒狀 5片이고 때로는 3∼7片이다. 小葉柄의 길이는 5∼15mm이고 光滑하고 毛가 없다. 萼片은 卵形이고 때로는 長卵形 혹은 闊卵形으로 頂端 1片이 가장 크며 길이는 8∼11mm이고 폭은 4.5∼6.5cm이고 基部의 것이 가장 작아 길이는 4∼6cm, 폭은 3∼4.5cm이고 先端은 漸小해지고 基部는 闊楔形 혹은 圓形을 나타내고 邊緣에는 淺粗鋸齒가 있고 上面은 녹색으로 光滑하고 下面은 회록색으로 중맥 下部의 양측에 갈색 柔毛가 있다. 꽃과 잎은 동시에 피거나 혹은 잎보다 약간 느리며 圓錐花序가 그 해에 나온 작은 가지의 頂端 및 葉腋에서 생긴다. 꽃은 작고 花萼은 杯狀이고 4裂이며 花冠은 없다. 雄蕊는 2개이며 겉으로 노출되어 있고 雌蕊는 2개로 心皮와 合生하고 柱頭는 2裂이 있다. 翅果는 倒長披針形으로 좁거나 약간 넓으며 길이는 약 3cm이고 先端은 약간 둥글거나 뾰족하며 날개는 披針形 혹은 長披針形으로 鈍頭 혹은 약간 옴푹하며 뾰족하다. 開花期는 5∼6월이고 結實期는 8∼9월이다. 산기슭이나 골짜기 개울가에 나며 전국에 분포한다.

※ 白蜡樹皮 Fraxinus chinensis ROXB.
落葉喬木으로 높이는 15m이며 小枝는 光滑하고 冬芽는 갈흑색이다. 單數羽狀復葉이고 小葉은 5∼9片이고 短柄을 가지거나 柄이 없으며 橢圓形 혹은 橢圓狀卵形으며 길이는 3∼10cm이고 先端은 尖銳하고 基部는 대칭이 아니며 鋸齒는 疏淺하고 양면이 光滑하고 背面의 中脈 및 側脈의 위에는 털이 있고 葉柄 基部는 膨大하다. 花序는 圓錐形이고 葉이 있는 枝端에 頂生하고 길이는 5∼15cm이다. 萼은 鍾形이고 불규칙한 4裂이 있다. 花冠은 없고 雄蕊는 2개이고 花藥은 卵狀橢圓形이고 藥은 花絲와 길이가 같고 子房은 2室이다. 蒴果는 倒披針形으로 길이는 3∼4.5cm 폭은 4∼6mm이며 開花期는 5월, 結實期는 10월이다.

【성상】

  이 약의 枝皮는 卷筒狀 또는 槽狀으로 길이 10~60cm, 두께 1.5~3mm이다. 外表面은 灰白色, 灰褐色 또는 黑褐色으로 평탄하거나 약간 엉성하며, 灰白色의 圓點狀의 皮孔과 가는 주름 및 分枝된 흔적이 있다. 內表面은 黃白色 또는 褐色으로 平滑하다. 質은 단단하면서도 잘 부스러지고, 斷面은 纖維性으로 黃白色이다.

【산지】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한다.

【성분】

  樹皮에는 aesculin(esculin), aesculetin(esculetin) 및 그 외 6-β-d-glucoside인 aesculin이 함유되어 있다.

【성미】

  寒 苦澁 無毒

【귀경】

  肝 膽 大腸

【효능 및 주치】

  淸熱燥濕, 收澁, 明目.
治熱痢, 泄瀉, 赤白帶下, 目赤腫痛, 目生翳膜.

【임상응용】

  1. 淸熱燥濕 收澁
 1) 濕熱痢疾로 裏急後重한 證에 응용된다 : 白頭翁湯-白頭翁 秦皮 黃連 黃柏.

2. 明目
 1) 肝熱로 인한 目赤腫痛과 目生翳膜에 黃連 菊花 등과 배합된다.
 2) 大黃과 硏末하여 肝脾積熱로 인한 眼疾을 치료한다.

【해설】

  1. 本品은 味가 苦하면서 性이 寒하고 澀하여 淸熱燥濕하는 가운데 收斂시키는 효능이 있어, 肝膽經에 들어가 肝膽의 火를 淸火하여 濕熱痢疾과 肝熱로 인한 目疾 등 證에 常用한다.

2. 또한 本經에 秦皮는 風寒濕痺를 치료한다고 하였는데, 최근 本品은 肌肉의 風濕疼痛을 약화시키는 작용이 있어 風濕痺痛을 치료하는데 응용하고 있다. 味가 澀하여 止帶의 효능이 있어 濕熱帶下를 치료한다.

3. 秦皮와 黃連은 모두 止痢시키는 효능과 目赤腫痛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는데, 다만 黃連의 苦寒은 淸熱시키는 藥力이 커서 心火를 瀉하고 아울러 止嘔시키며, 秦皮는 性이 澀하고 收斂하는 효능이 있어 濕熱帶下를 치료한다.

【수치】

  雜質을 제거하고 細切하여 사용한다.

【용량】

  6~12g.

【금기】

 

性味가 苦寒하여 胃를 손상케 하므로 胃虛食少者와 脾胃虛寒者에게는 마땅하지 않다.

 

~~~~~~~~~~~~~~~~~~~~~~~~~~~~~~~~~~~~~~~~~~~~~~~~~~~~~~~~~

 

 

 

혈압을 높이는 작용, 장윤동운동 억제작용, 거담작용, 진통작용, 이뇨작용, 혈액응고억제작용, 소염작용, 이담작용, 해열, 해수, 천식, 진해, 거담, 간열, 명목, 습열설사, 다래끼, 이질, 대하, 자궁출혈, 장출혈, 급성 및 만성 대장염, 세균성이질, 눈물분비과다증, 위염, 기관지염 및 만성기관지염을 다스리는 물푸레나무

물푸레나무는 물푸레나무과(목서과) 물푸레나무속에 속하는 갈잎큰키나무이다. 물푸레나무속은 전세계에 약 70종이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미국물푸레나무(뾰족잎물푸레나무, 외물푸레나무), 물푸레들메나무(지리산물푸레나무, 물들메나무), 구주물푸레나무, 들메나무, 붉은물푸레나무, 백운쇠물푸레나무, 물푸레나무, 광릉물푸레나무, 쇠물푸레나무, 좀쇠물푸레나무가 자라고 있다.

물푸레나무의 높이는 10~25m까지 자란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어린 가지는 회갈색으로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5~7개로 달걀형~피침형이며 끝이 길 게 뾰족하고 뒷면은 회녹색이며 가운데 잎맥 위에 털이 있다. 새로 자란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에 자잘한 꽃이 핀다. 열매는 날개가 있고 갈색으로 익는다.

개화기는 4~5월이고 결실기는 9월이다.

물푸레나무의 이름에 유래는 이 나무의 껍질을 벗겨서 물에 담그면 물이 새파랗게 녹색이 우러나와 물이 푸른빛을 띠어서 '물푸레나무'라고 부른다.

물푸레나무의 다른 이름은
진피[秦皮: 신농본초경(
神農本草經)], 잠피[岑皮: 회남만필술(淮南萬畢術)], 침피[皮, 석단:石檀: 명의별록(名醫別錄)], 번규피[樊槻피: 도홍경(陶弘景)], 진백피[秦白皮: 약성론(藥性論)], 납수피[蠟樹皮: 중약지(中藥誌)], 고류피[苦榴皮: 전전선편(全展選編), 피부병(皮膚病)], 침목[梣木: 회남자(淮南子)], 고력목[苦木: 회남자(淮南子), 고유주(高誘注)], 고수[苦樹: 당본초(唐本草)], 분계[盆桂: 일화자제가본초(日華子諸家本草)], 번계목[鷄木: 집운(集韻)], 진목[秦木: 본초강목(本草綱目)], 칭성수[秤星樹: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대엽침[大葉, 대엽백납수:大葉白蠟樹, 화곡류:花曲柳, 고력백납수:白蠟樹: 소엽백납수:小葉白蠟樹, 진령백납수:秦嶺白蠟樹: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거류[柜柳: 성경통지(盛京通志)], 심목(木), 백심목피(白木皮), 수청목(水靑木), 청피목(靑皮木), 물푸레나무 등으로 부른다.

물푸레나무는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 독이 없다. 간, 신, 담경에 작용한다.

열습사(熱濕邪)를 제거하며 천식, 해수를 멎게 하고 시력을 아주 좋게 하는 효능이 있다. 세균성 이질, 장염, 백대하, 만성 기관지염, 목적(目赤)으로 인한 종통, 눈물 분비 과다증, 어린선(魚鱗癬)을 치료한다.

하루 6~12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환을 만들어 먹는다. 외용시 달인 물로 씼는다.

주의사항으로 비위(脾胃)가 허한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1, <신농본초경집주>: "대극(大戟)을 사(使)로 한다. 수유(茱萸)를 꺼린다."
2, <약성론>: "고호(苦瓠), 방규(防葵)를 꺼린다."
3, <본경봉원>: "위허(胃虛)로 인하여 소식(少食)하는 사람은 사용하면 안 된다."

최영전의
<한국민속식물>에서는 "강원도에서는 물이 푸르게 된다고 하여 수청목(水靑木)이라고도 하고 청피목(靑皮木)이라는 이름으로도 부른다."고 쓰고 있다.

물푸레나무에 대하여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진피(秦皮) //물푸레껍질, 잠피(岑皮), 석단(石檀), 백심목피(白
木皮)// [본초]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인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Hance)의 줄기 또는 가지의 껍질을 말린 것이다. 물푸레나무는 각지의 산기슭과 살골짜기, 개울가에서 자란다. 봄부터 이른 여름 사이에 껍질을 벗겨 겉껍질을 버리고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간경, 담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눈을 밝게한다. 간열(肝熱)도 없앤다. 성분 에스쿨린과 에스쿨레틴은 혈압을 높이고 장윤동운동을 억제하며 이뇨작용, 혈액응고억제작용을 나타내고, 에스쿨린은 소염작용을, 에스쿨레틴은 이담작용을 나타낸다. 습열설사, 이질, 대하, 자궁출혈, 장출혈 등에 쓴다. 급성 및 만성 대장염, 세균성이질, 위염, 기관지염 등에도 쓴다. 하루 6~12g을 물로 달이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
]

물푸레나무에 대해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진피(秦皮)

물푸레나무과의 갈잎큰키나무 물푸레나무(Fraxinus rhynchophylla Hance), 좀쇠물푸레(Fraxinus sieboldiana Bi. var. angustata Bi.), 쇠물푸레나무(Fraxinus sieboldiana Bi.), 광릉물푸레(Fraxinus rhynchophylla Hance var. densata {Nakai} Y. Lee), 구주물푸레(Fraxinus excelsior Linne), 물들메나무(Fraxinus chiisanensis Nakai)의 나무껍질이다.

성미: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효능: 청열해독(淸熱解毒), 조습(燥濕), 청간명목(淸肝明目), 평천지해(平喘止咳)

해설: ① 습열(濕熱)이 많아서 발생한 이질에 황련(黃連)과 같이 쓰고, ② 대하(帶下)에 목단피(牧丹皮) 가루와 함께 꿀로 환약을 만들어 복용하며, ③ 간화(肝火)로 인한 다래끼, 안구충혈, 동통에 물을 넣고 달여서 환부를 세척한다. ④ 해수와 천식에 진해, 거담 작용을 나타낸다.

성분: aesculin, aesculetin, fraxetin, tann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① 소염, 진통 작용이 나타나고, ② 요량(尿量) 및 요산(尿酸)의 배설을 촉진시키고, ③ 진해, 거담 작용이 현저하다. ④ 황색포도상구균 등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임상보고: ① 세균성이질에 유효성이 높게 나타나고, ② 만성기관지염에도 유효율이 높다. ③ 다래끼에 진피(秦皮) 20g, 대황(大黃) 4g을 물을 넣고 달여서 하루 3회 복용하자 치료 효과가 있었다.]

황도연의 <방약합편>에서는 물푸레나무에 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물푸레나무껍질(진피)


(秦皮苦寒治熱痢 煎洗目腫兼風淚)
(진피고한치열리 전세목종겸풍루)


물푸레는 맛이쓰고

성질은 차다더라

열리 잘 낫게 하며

눈부어서 아픈데와

바람맞아 눈물날 때

달인물로 씻어주네
]

물푸레나무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열리하중(熱痢下重)

백두옹(白頭翁) 75g, 황백(黃柏) 113g, 황련(黃連) 113g, 물푸레나무껍질 113g에 물 7되를 넣고 2되가 되도록 끓여서 졸인 다음 찌꺼기를 제거하고 1되를 온복한다. 그래도 낫지 않을 때는 1되를 더 복용한다. [상한론(傷寒論), 백두옹탕(白頭翁湯)]

2, 만성 세균성 이질

물푸레나무껍질 11g, 생지유(生地楡), 춘피(椿皮) 각 11g을 달여 복용한다. [하북중약수책(
河北中藥手冊)]

3, 하리(下痢)

물푸레나무껍질 11g을 물로 달여 설탕을 넣고 나누어 복용한다. [흑룡강상용중초약수책(黑龍江常用中草藥手冊)]

4, 적안(赤眼) 및 안청상창(眼晴上瘡)

물푸레나무껍질 40g을 백자(白磁) 사발에 넣고 깨끗한 물 1큰되를 넣어 봄, 여름에는 식사를 할 동안 담그어 군청색이 되면 그 즙을 젓가락에 감은 솜에 묻혀서 안와(眼窩)의 누선(淚腺) 쪽으로부터 넣어 전체에 퍼지게 한다. 그 횟수는 식간에 3~5회로 한다. 통증이 있더라도 참고 누워서 더운 즙을 떨구어 넣는다. 1일 10번 이상 반복하면 2일이면 낫는다. 초(醋)와 나복(蘿蔔: 무)를 피한다. [근효방(
近效方)]

5, 맥립종(麥粒腫), 숙변

물푸레나무껍질 11g, 대황(大黃) 7.5g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임신부는 복용을 금한다. [하북중약수책(
河北中藥手冊)]

6, 부인의 적백 대하, 자궁 출혈이 멎지 않을 때

물푸레나무껍질 113g, 단피(丹皮) 75g, 당귀신(當歸身)의 중간 부분 37.5g을 술로 씻어서 볶은 후 가루내어 정제한 벌꿀로 벽오동씨 만한 크기의 환을 만들어 매일 아침 19g을 더운 물로 복용한다. [본초휘언(本草彙言)]

7, 소아의 경풍(驚風)으로 인한 발열 및 변증열(變蒸熱)

물푸레나무껍질, 복령 각 3.8g, 감초 2g, 등심(燈心) 20뿌리를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아과촬요(兒科撮要)]

8, 어린선(魚鱗癬:
피부건조하여 고기비늘 모양으로 갈라지고 각질 증식일어나는 피부병. 유전성 각화증하나심상성() 어린선선천성 어린선으로 나눈다.)
물푸레나무껍질37.5~75g에 물 반 대야를 넣고 달인 물로 환부를 매일 또는 2일에 1번씩 나올 때가지 계속 씻는다. 달인물은 데우면 3번까지 쓸 수 있다. [전전선편(
全展選編), 피부병(皮膚病)]

9, 세균성 이질
(임상보고)
① 물푸레나무껍질의 탕제: 40ml당 생약 30g을 함유한 것으로 소아 환자 50례를 치료하였다. 1세 이하는 하루에 8~10ml, 1~3세는 10ml, 3세 이상은 15ml를 4회로 나누어서 경구 투여한 결과 체온이 정상으로 회복되는데 필요한 기간은 평균 1.9일, 대변 횟수가 정상으로 회복되는데 필요한 기간은 평균 8.1일 이었다.

② fraxedin: 투약량은 의사에 따라 다르다. 어떤 사람은 1일당 50mg의 경구 투약량으로 제제(製劑)하고 환자의 연령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같은 양을 4회로 나누어 투약했다.

치료한 66례(성인 30례, 소아 36례)에서는 현저한 효과가 있었으나 cintomycin과 tetracyclin을 쓴 대조군에 비해 효과가 조금 떨어졌다. 어떤 사람은 1일 50~100mg/kg의 복용량을 2~3번에 나누어 투약하고 1치료 과정을 5~6일으로 하여 증상에 따라 각종 처치도 병용했다. 치료한 77례에서 유효율은 71% 이상이었다. 또 어떤 사람은 aesculin을 써서 1일당 5mg/kg의 복용량으로 치료하였는데 67례에서 치유 41례, 호전 11례, 무효 15례였다. [중약대사전]

10, 만성 기관지염
(임상보고)
물푸레나무껍질로 농도 1:1의 분무액을 제조하여 1회 2ml를 분무기로 aerosol실에 분사하여 1일 1회 30분간 흡입한다. 또 엑스로 만든 정(錠: 1정당 엑스 0.3g을 함유)을 제조하여 1회 2정씩 1일 3회 복용한다. 모두 1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530례의 치료를 진행하여 그중 aerosol에 의해 치료한 2치료 기간 후의 422례에서는 단기간 치유 86례(20.3%), 현효 140례(33.2%)이고 5치료 기간 후의 58례에서는 단기간 치유 3례, 현효 29례였다. 일부 환자는 기침, 천식, 가래의 증상이, 내복의 경우에는 치료 개시 1일째에 효과가 나타났고 aerosol의 경우에는 약 60%의 환자가 3일 이내에 증상에 효과가 있었다. 천식 증상 및 천명음(喘鳴音)에 대한 단기간의 치유율은 매우 높았다. [중약대사전]

물푸레나무는 깊은 산속의 수도승들이 그들의 옷에 물들이는데 옛부터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다.


물푸레나무는 굳고 탄력이 있어 농경문화에 크게 기여한 나무로서 가장 많이 쓰이는 곳이 연장자루이다. 도끼자루, 맷돌손잡이, 창자루, 곡식을 털 때 쓰는 도리깨나무로도 유명하다. 오늘날에는 물푸레나무의 재목으로 스키를 만들거나 총의 개머리판 및 야구 방망이를 만드는데 이용한다. 옛날에는 배를 만들고 수레도 만들었으며 건축재, 기구재로 널리 애용된 나무이다.

출처 : 백년 건강
글쓴이 : 협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