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7. 8. 20:40ㆍ약초보감
진피(秦皮) 물푸레나무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간경, 담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눈을 밝게 한다.
간열도 없앤다.
|
성분 에스쿨린과 에스쿨렌틴은 혈압을 높이고, 장윤동운동을 억제하며
이뇨작용, 피응고억제작용을 나타내고,
에스쿨린은 염증없애기작용을, 에스쿨레틴은 열물내기작용을 나타낸다.
습열설사, 이질, 이슬, 자궁출혈, 장출혈 등에 쓴다.
급성 및 만성대장염, 세균성적리, 위염, 기관지염 등에도 쓴다.
하루 6~12그램을 달임약, 알약 형태로 먹는다.
- 동의학 -
진피는 맛은 쓰고 성질은 차가운 약으로
열을 내리고 습을 말리는 약재이다.
열을 내리고 습을 말리는 동시에 간과 담에 있는 열을 내려주고
간의 열로 인한 눈의 통증이나 이상 증세에 많이 응용된다.
뇨산증, 이질, 장염, 여성의 대하 등
습열이 원인이 되는 질환과 설사등에 이용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무독(無毒), 맛이 매우 쓴 편이기 때문에
위장이나 소화기가 약한 사람은 소화기 약재와 같이 사용하여야 하며 비위가 차가운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진백피(秦白皮), 백심목피(白心木皮)라고도 한다.
기원】
이 藥은 木犀科(물푸레나무과 ; Oleaceae)에 속한 落葉喬木인 물푸레나무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白蜡樹 F. chinensis ROXB. 및 同屬 近緣植物의 枝皮와 幹皮(樹皮)를 건조한 것으로, 봄과 가을에 벗겨 晒乾한다. |
【설명】
落葉喬木으로 높이는 10m 정도이다. 樹皮는 회갈색이고 비교적 매끄럽고 老木이 되면 얕은 裂目이 나온다. 小枝 또한 매끄럽고 皮孔은 희소하고 闊橢圓形이다. 芽는 短闊하고 갈색 絨毛로 덮여 있다. 奇數 羽狀複葉으로 對生한다. 葉軸은 光滑하고 毛가 없다. 小葉은 筒狀 5片이고 때로는 3∼7片이다. 小葉柄의 길이는 5∼15mm이고 光滑하고 毛가 없다. 萼片은 卵形이고 때로는 長卵形 혹은 闊卵形으로 頂端 1片이 가장 크며 길이는 8∼11mm이고 폭은 4.5∼6.5cm이고 基部의 것이 가장 작아 길이는 4∼6cm, 폭은 3∼4.5cm이고 先端은 漸小해지고 基部는 闊楔形 혹은 圓形을 나타내고 邊緣에는 淺粗鋸齒가 있고 上面은 녹색으로 光滑하고 下面은 회록색으로 중맥 下部의 양측에 갈색 柔毛가 있다. 꽃과 잎은 동시에 피거나 혹은 잎보다 약간 느리며 圓錐花序가 그 해에 나온 작은 가지의 頂端 및 葉腋에서 생긴다. 꽃은 작고 花萼은 杯狀이고 4裂이며 花冠은 없다. 雄蕊는 2개이며 겉으로 노출되어 있고 雌蕊는 2개로 心皮와 合生하고 柱頭는 2裂이 있다. 翅果는 倒長披針形으로 좁거나 약간 넓으며 길이는 약 3cm이고 先端은 약간 둥글거나 뾰족하며 날개는 披針形 혹은 長披針形으로 鈍頭 혹은 약간 옴푹하며 뾰족하다. 開花期는 5∼6월이고 結實期는 8∼9월이다. 산기슭이나 골짜기 개울가에 나며 전국에 분포한다. ※ 白蜡樹皮 Fraxinus chinensis ROXB. 落葉喬木으로 높이는 15m이며 小枝는 光滑하고 冬芽는 갈흑색이다. 單數羽狀復葉이고 小葉은 5∼9片이고 短柄을 가지거나 柄이 없으며 橢圓形 혹은 橢圓狀卵形으며 길이는 3∼10cm이고 先端은 尖銳하고 基部는 대칭이 아니며 鋸齒는 疏淺하고 양면이 光滑하고 背面의 中脈 및 側脈의 위에는 털이 있고 葉柄 基部는 膨大하다. 花序는 圓錐形이고 葉이 있는 枝端에 頂生하고 길이는 5∼15cm이다. 萼은 鍾形이고 불규칙한 4裂이 있다. 花冠은 없고 雄蕊는 2개이고 花藥은 卵狀橢圓形이고 藥은 花絲와 길이가 같고 子房은 2室이다. 蒴果는 倒披針形으로 길이는 3∼4.5cm 폭은 4∼6mm이며 開花期는 5월, 結實期는 10월이다. |
【성상】
이 약의 枝皮는 卷筒狀 또는 槽狀으로 길이 10~60cm, 두께 1.5~3mm이다. 外表面은 灰白色, 灰褐色 또는 黑褐色으로 평탄하거나 약간 엉성하며, 灰白色의 圓點狀의 皮孔과 가는 주름 및 分枝된 흔적이 있다. 內表面은 黃白色 또는 褐色으로 平滑하다. 質은 단단하면서도 잘 부스러지고, 斷面은 纖維性으로 黃白色이다. |
【산지】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한다. |
【성분】
樹皮에는 aesculin(esculin), aesculetin(esculetin) 및 그 외 6-β-d-glucoside인 aesculin이 함유되어 있다. |
【성미】
寒 苦澁 無毒 |
【귀경】
肝 膽 大腸 |
【효능 및 주치】
淸熱燥濕, 收澁, 明目. 治熱痢, 泄瀉, 赤白帶下, 目赤腫痛, 目生翳膜. |
【임상응용】
1. 淸熱燥濕 收澁 1) 濕熱痢疾로 裏急後重한 證에 응용된다 : 白頭翁湯-白頭翁 秦皮 黃連 黃柏. 2. 明目 1) 肝熱로 인한 目赤腫痛과 目生翳膜에 黃連 菊花 등과 배합된다. 2) 大黃과 硏末하여 肝脾積熱로 인한 眼疾을 치료한다. |
【해설】
1. 本品은 味가 苦하면서 性이 寒하고 澀하여 淸熱燥濕하는 가운데 收斂시키는 효능이 있어, 肝膽經에 들어가 肝膽의 火를 淸火하여 濕熱痢疾과 肝熱로 인한 目疾 등 證에 常用한다. 2. 또한 本經에 秦皮는 風寒濕痺를 치료한다고 하였는데, 최근 本品은 肌肉의 風濕疼痛을 약화시키는 작용이 있어 風濕痺痛을 치료하는데 응용하고 있다. 味가 澀하여 止帶의 효능이 있어 濕熱帶下를 치료한다. 3. 秦皮와 黃連은 모두 止痢시키는 효능과 目赤腫痛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는데, 다만 黃連의 苦寒은 淸熱시키는 藥力이 커서 心火를 瀉하고 아울러 止嘔시키며, 秦皮는 性이 澀하고 收斂하는 효능이 있어 濕熱帶下를 치료한다. |
【수치】
雜質을 제거하고 細切하여 사용한다. |
【용량】
6~12g. |
【금기】
性味가 苦寒하여 胃를 손상케 하므로 胃虛食少者와 脾胃虛寒者에게는 마땅하지 않다.
~~~~~~~~~~~~~~~~~~~~~~~~~~~~~~~~~~~~~~~~~~~~~~~~~~~~~~~~~
혈압을 높이는 작용, 장윤동운동 억제작용, 거담작용, 진통작용, 이뇨작용, 혈액응고억제작용, 소염작용, 이담작용, 해열, 해수, 천식, 진해, 거담, 간열, 명목, 습열설사, 다래끼, 이질, 대하, 자궁출혈, 장출혈, 급성 및 만성 대장염, 세균성이질, 눈물분비과다증, 위염, 기관지염 및 만성기관지염을 다스리는 물푸레나무 |
'약초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상륙 자리공의 효능과 간암 자가진단 방법 (0) | 2013.07.27 |
---|---|
[스크랩] 세신 [족두리풀] (0) | 2013.07.26 |
[스크랩] 약초 이야기1 (0) | 2013.06.18 |
◈ 모든암을 죽이는 부처손의 효능 (0) | 2013.06.17 |
◈ [약초의 효능] 한방 오자(五子)의 효능 (0) | 2013.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