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3. 1. 21:40ㆍ주간농사 정보
◈ 요 약
분 야 | 핵심기술 및 정보 |
농업정보 | • (기상) 기온은 평년(3.4~5.0℃)과 비슷하고, 강수량은 평년(4.1~14.3㎜)과 비슷하거나 많겠음(기온의 변화가 크겠음) • (가뭄) 전국 평균 저수율 71%(평년 80%의 89%/2. 20.기준)로 정상 유지, 주의단계지역 : 나주, 경주, 밀양, 김해, 양산, 부산 • (농약안전사용) 강화되는 농약 잔류허용기준(PLS 도입)을 숙지하여 작물보호제 지침서에 등록된 농약만 사용하고 희석농도·사용시기·사용횟수 등 안전사용기준 반드시 준수 |
벼 | • (볍씨 준비) 재배방법 및 특성고려 품종선택, 자율교환 종자 활력검사 • (농기계) 연료탱크, 엔진오일, 냉각수, 배터리 점검 및 정비 • (3저․3고 운동) 재배면적 줄이기, 질소비료 2㎏ 줄이기, 생산비 줄이기, 밥맛좋은 품종 재배하기, 완전미 비율 높이기, 쌀 소비 늘리기 |
밭작물 | • (맥류) 생육부진 포장 요소 엽면시비, 귀리 3월 상순 봄파종 • (감자) 겨울시설재배 적정 온도 및 수분 유지, 봄재배 산광싹틔우기 실시 • (고구마) 씨고구마 준비 및 소독, 육묘온상 적기 설치 • (콩 종자) 콩 정부보급종 품종특성 확인 후 희망품종 및 물량 신청 |
채소 | • (마늘‧양파) 마늘 잎 꺼내기 2~3일 전에 미리 구멍을 내어 순화함 노균병, 흑색썩음균핵병 피해포기 제거, 고자리파리, 뿌리응애 초기방제 등
• (노지고추) 육묘 중 고온이나 저온장해 발생 시 요소 0.2~0.3% 엽면시비 • (노지 봄배추) 3월상~4월하 파종, 적기보다 빨리 심으면 저온에 의한 생육부진 및 추대 발생 우려 • (시설채소) 봄철 강풍 및 황사대비 시설물 관리, 환절기 열과 등 생리장애 예방 |
과수 | • (동해 실내판별) 가지 채취 → 물병에 꽃음 → 상온 3일 경과 → 꽃눈 및 가지 동해여부(갈변) 확인 • (복숭아순나방) 시군별 3월 1일부터 ‘일 평균온도에서 –8℃를 뺀 값이 0℃ 이상인 온도’를 누적하여 방제적기 설정 • (꼬마배나무이) 2월 1일부터 최고온도 6℃이상 되는 16~21일경 기계유제 살포 |
화훼 | • (카네이션) 화아 형성기 적온(야간 8℃ 이상, 주간 258℃ 이하) 관리 • (거베라) 급격한 온도변화 주의, 차먼지 응애 발생 예찰 및 방제 |
특작 | • (인삼) 저온보관 봄파종 종자는 3~5일 정도 2~4℃에서 순화 후 파종 • (약용작물) 재배지 만상일 고려 파종, 파종상을 미리 만들어 비료 피해가 없도록함 |
축산 | • (가축관리) 심한 일교차에 따른 축종별 적정 보온 및 환기관리 • (축사관리) 축사 화재예방 등 정기적인 안전점검 • (사료작물) 겨울나기 후 눌러주기, 웃거름 주기, 냉해피해 포장은 봄파종 또는 보파 • (AI 차단방역수칙) 야생조류 등 출입차단 및 소독철저 |
◈ 밭 작 물
◆ 콩 보급종 신청
❍ 콩 정부보급종 종자 신청(국립종자원 홈페이지 공지)
- 보급종은 품종 특성을 미리 알아보고 해당 지역에 공급되는 품종을
기간 내에 시군농업기술센터, 읍․면 농민상담소(읍․면 상담소가 없을
경우 읍․면 사무소)에 희망 품종과 물량을 신청함
- 일반신청 추진일정-
기본신청기간 | 추가신청기간 | 공급시기 |
2.1~3.14 | 3.20~4.7 | 4.3~5.12 |
- 품종별 공급계획-
공급량 | 분 류 | 품 종 |
1,610톤 | 두부 및 장류(5) | 대원(1,187), 태광(184), 대풍(25), 선유(20), 연풍(4) |
콩나물콩(1) | 풍산나물(190) |
* 공급시기, 품종 등 자세한 내용은 국립종자원 식량종자과 문의 (054-912-0187)
◆ 감자 재배
❍ 겨울시설재배는 환경관리 및 적기 병해충 방제를 실시함
- 역병은 발생한 후 방제가 어려우므로 저온이고 습도가 높을 때 발생하므로 하우스 온도 및 습도 관리와 예방위주로 전용약제를 살포함
- 생육초기부터 중기까지 시설 내 주간온도는 강제 환기팬을 설치하여 조절하고 야간은 비닐커튼 등으로 보온함
- 토양수분이 부족하면 생육과 덩이줄기 비대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수시로 점검하여 토양수분이 충분이 유지되도록 관리함
❍ 봄재배는 감자파종 예정일부터 약 20~30일전에 산광싹틔우기를 실시하여 감자를 심은 후 싹이 빨리 올라오도록 해야 함
- 중부지방의 산광싹틔우기는 3월 상순~중순에 실시하고 기간은 20~30일 정도임
구분 | 산광싹틔우기 시작 | 정식(아주심기) | 기간 |
남부지방 | 2월 중순 ~ 하순 | 3월 상순 ~ 중순 | 20~30일간 |
중부지방 | 3월 상순 ~ 중순 | 3월 중순 ~ 하순 | 20~30일간 |
- 모래나 왕겨를 너무 두껍게 덮으면 감자싹이 너무 길어져 아주 심을 때 싹이 상처를 받기 쉽고 흙덮기가 어려워 싹이
땅 위로 올라오게 되므로 서리피해를 받기 쉬움
- 산광싹틔우기는 15~20℃의 온도와 관계습도 80~85%를 유지하고 30~50% 차광망을 설치한 온실이나 하우스
내에서 실시함
- 낮에는 25℃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환기를 시켜주고 밤에는 5℃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보온함
❍ 봄재배에서 싹을 틔워 아주심는 시기는 남부지방은 3월 상순~중순이며 늦서리의 피해가 적은 지역에서는 일찍
심을수록 좋음
- 감자밭은 아주심기 하루 전이나 심는 날 이랑을 만들어 비닐 피복하여 수분증발을 막아줌
- 싹틔움상에서 씨감자를 채취할 때는 채취 하루 전 또는 2~3시간 전에 물을 충분히 주어 뿌리가 끊어지지 않게 함
◆ 고구마 육묘
❍ 고구마 재배를 위해 10a에 필요한 묘는 4,500~7,100본 정도이고 매회 1,500~2,200본의 싹을 생산할 수 있는 씨고
구마를 준비함
- 씨고구마 1㎏에 묘 생산량은 20~30개이므로 10a에 필요한 양은 75~100㎏ 정도임
❍ 씨고구마의 선택은 병들지 않은 건전한 고구마, 품종 고유의 특성을 가진 고구마, 저장 중 냉해를 입지 않은 고구마,
재배작형에 알맞은 품종 선택이 중요함
- 검은무늬병, 건부병 등의 피해를 입은 고구마는 사용하지 않음
- 냉해를 입은 고구마는 양끝이 갈색으로 썩은 것이 많고 잘라보면 광택이 없으며 유액이 적게나옴
❍ 온상에 묻기 전에 침투성 살균제로 소독하거나 온탕소독은 47~48℃에서 40분간 침지함
❍ 묘상 면적은 10a당 약 10㎡ 필요하고 상토의 깊이는 12~15㎝ 정도이며 묘상의 폭은 120~130㎝가 묘상관리 및 채묘작업에
용이함
◈ 채 소
◆ 마늘․양파
❍ (마늘 잎 꺼내기) 무공비닐로 멀칭 했을 경우 잎을 비닐 밖으로 꺼냄
- 한지형 마늘의 잎이 2~3매 전개되어 길이가 10~15cm 정도 일 때
※ 잎을 꺼낸 후 저온에 노출되면 잎 끝부터 흰색으로 말라 피해가 발생하므로 저온피해 예방을 위해 잎 꺼내기 2~3일 전에 미리 구멍을
내어 순화하고, 일기예보를 참고하여 맑고 따뜻한 날이 2~3일 계속될 때 작업함
- 잎을 꺼내지 않고 비닐을 일시에 벗길 때는 미리 30~40cm 간격으로 구멍을 내어 순화시킨 후, 4월상․중순경 벗겨줌
❍ (웃거름 주기) 웃거름 주는 양과 시기는 지역 및 생육 조건에 따라 알맞은 양을 주며, 새로운 뿌리가 나오기 시작할 무렵이 적기임
- (마 늘) 난지형은 3월 중하순까지, 한지형은 4월 중순까지 완료하되, 10a당 요소 34~36kg, 황산가리 20~26kg을 10일 간격 2~3회로 나누어 줌
- (양 파) 2회로 나누어 2월 중순 10a당 요소 17.4kg, 염화칼리 5.24kg을 주고 3월 중하순에 처음과 동일한 양을 주도록 함
<마늘‧양파 주요 병해충 적기 방제>
구분 | 3월 | 4월 | 5월 상순 |
흑색썩음균핵병 | 피해포기 제거 | ||
노균병 | 2차 감염 예방 (피해포기 제거) | (발생초기) 적용약제 살포 | |
녹 병 | (발생초기) 적용약제 살포 | ||
잎집썩음병 (춘부병, 무름병) | (고온, 강우) 세균방제제 | (고온, 강풍, 강우) 세균방제제 |
|
잎마름병 | (친환경방제) 석회유황합제 | (종 출현 시) 곰팡이방제제 | |
뿌리응애, 고자리파리, 선충, 작은뿌리파리 | (피해초기) 입제 |
|
◈ 과 수
-과수 동해 실내 판별법-
◆ 시료 준비
❍ 꽃눈이 있는 결과지를 무작위로 채취하여 충분한 시료 확보
◆ 시료 수삽
❍ 가지를 수삽하기 위한 오아시스를 준비
- 수삽 기간이 1주일 이내일 경우에는 일반 물병 꽃이도 좋음
❍ 넓은 그릇에 오아시스를 올려놓고 조금씩 물을 부어 오아시스 위쪽 끝까지 충분히 물을 흡수시킴
- 물높이는 오아시스 높이의 1/2를 넘지 않는 것이 좋음
❍ 가지를 20∼30cm 길이로 잘라 물이 흡수된 오아시스에 꽂음
◆ 조직 해동
❍ 수삽한 가지를 0℃이상의 상온 5일, 혹은 10℃의 항온기에 3일 넣음
◆ 조직 절단 및 피해 판정
❍ 결과지에 부착된 눈을 면도칼로 따낸 후 깨끗한 종이위에서 눈을 종단면으로 정확히 잘라 꽃눈의 갈변여부 확인
❍ 가지는 수피에서 2∼4mm정도를 자르고 유관속의 갈변여부를 확인
◆ 적산온도 이용 복숭아순나방 방제
❍ 복숭아 순나방 방제를 위한 약제는 3월 1일부터 ‘일 평균온도에서 –8℃를 뺀 값이 0℃ 이상인 온도’를 누적하여
적산온도가 214, 660, 1,380, 및 1,950℃ 되는 시기가 방제(약제살포) 적기임
❍ 적산온도 계산(예시)
날짜 | 평균기온 | 적산온도 (평균온도-8.0) | 날짜 | 평균기온 | 적산온도 (평균온도-8.0) |
3월 1일 | 2.0 | 0 | 3월 11일 | 3.2 | 3.1 |
3월 2일 | -0.5 | 0 | 3월 12일 | 5.3 | 3.1 |
3월 3일 | 0.1 | 0 | 3월 13일 | 6.4 | 3.1 |
3월 4일 | 1.6 | 0 | 3월 14일 | 4.4 | 3.1 |
3월 5일 | 2.7 | 0 | 3월 15일 | 4.1 | 3.1 |
3월 6일 | 4.6 | 0 | 3월 16일 | 5.6 | 3.1 |
3월 7일 | 5.5 | 0 | 3월 17일 | 6.7 | 3.1 |
3월 8일 | 8.0 | 0 | 3월 18일 | 8.1 | 3.2 |
3월 9일 | 11.1 | 3.1 | 3월 19일 | 9.4 | 4.6 |
3월 10일 | 2.9 | 3.1 | 3월 20일 | 4.3 | 4.6 |
* 시군농업기술센터 기상관측장비 활용 지역별 방제적기를 농업인에게 제공
◆ 꼬마배나무이 적기 방제
❍ 꼬마배나무이 초기 방제적기는 2월 1일부터 최고온도 6℃ 이상 되는 일수가 16∼21일 되는 시기임
(남부지역 2월 하순 ~ 중부지역 3월 상순)
* 월동 성충이 나무위로 80% 이상 이동하는 시기
❍ 기계유유제 처리는 성충을 방제하고, 살아남은 성충이 배나무 가지에 산란을 기피하는 효과가 있음
* 자료제공 : 농촌진흥청 나상수 지도사(063-238-0981)
◈ 특용작물
◆ 인 삼
❍ 겨울이 지나면 폭설 예방으로 쳤던 차광망을 걷어 올려 두둑의 온도를 높이고 수분을 낮추어 인삼 머리가
부패되는 것을 최소화 함
❍ 뿌리가 얕게 묻혀 인삼 머리가 보이는 곳은 고랑 흙으로 덮어줌
❍ 땅이 녹아서 물이 고이는 인삼 포장은 배수로를 잘 정리하여 과습으로 인한 인삼의 생리장해와
뿌리썩음병 예방에 노력해야 함
❍ 봄파종을 계획한 농가에서는 종자가 발아하기 전 개갑이 잘 된 것을 선별해 최대한 빨리 파종 해줌
- 저온에서 보관한 종자는 파종하기 3~5일 전에 반드시 서늘한 곳(2~4℃)에서 순화한 뒤 파종
- 말린 후 저온저장 한 종자는 파종 전에 흐르는 물에 하루 정도 담근 뒤 파종하면 종자가 수분을 흡수하기 쉬워짐
◈ 약용작물 파종
◆ (당귀) 당귀 직파재배는 기온이 따뜻한 중, 남부 지역에서 주로 이루어지며 3월 중순~4월 상순에
비닐을 피복하거나 노지에 파종하여 그해 가을 1년생을 약재로 수확 함
- 직파재배는 약재 몸통 부분이 적고 굵은 뿌리가 많아 외관상 품질은 다소 낮고 2년차에는 꽃대가 올라와
약으로 이용할 수 없음
◆ (백지) 구릿대는 재배지역에 따라 파종기가 다르며, 중북부 지역에서는 주로 가을 파종을 하고, 중남부지
역에서는 봄 파종을 함
- 봄 파종하여 당년 가을에 수확하는 경우 골 사이 30cm, 포기 사이 10cm로 3~4립씩 점파 했다가 본엽이
2~3매 전개될 때 솎음질 하여 건실한 것으로 1주를 남겨 놓음
◆ (도라지) 도라지 주로 직파재배를 하며 발아에 소요되는 기간이 10~14일 정도이므로 봄 파종을 할 때
에는 재배지의 만상일을 고려하여 발아 후 서리 피해를 받지 않도록 파종함
- 파종은 너비 90~120cm의 두둑을 만들고 6~9cm로 줄뿌림 하거나 흩어뿌림하며 종자량의 3~4배의 톱밥
이나 모래를 잘 혼합하여 뿌려줌
- 종자는 파종상을 만든 후 7~15일 후 파종하여 비료의 피해가 없도록 하고, 파종한 후 볏짚을 덮고 물을 충분히
주도록 함
◆ (천궁) 크기가 25~30g정도인 토란모양의 뿌리줄기를 떼어서 번식하는데 배수가 잘 되지 않으면 동해 피해가
발생하므로 봄 일찍 땅이 풀리면 곧바로 심음
- 두둑에 2줄로 종근을 위로 향하게 늘어놓고 2cm정도 두께로 덮어주는데 깊이 심으면 꽃대가 많이 발생하고 염
주 모양의 주아가 많이 생기므로 되도록 얕게 심음
- 종근은 큰 것을 심을수록 수량성이 높으며 종근 소요량은 10a당 120~150kg로 심기 전 약제나 온탕 침지 소독 후
식재함
- 정식 후 흑색 P.E 필름으로 피복하면 출현율이 높고, 잡초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수량도 증수 됨
◆ (시호) 1년생과 2년생의 약효성분함량 차이가 없으며 오히려 1년생 뿌리가 약간 더 많은 것으로 밝혀져 직파 1년
생 재배가 이뤄지고 있음
- 파종은 이른 봄이나 늦가을에 하는데 늦가을에 파종하는 것이 발아율이 높음
- 시비량은 보통 10a당 퇴비 2,000kg과 원예용 복합비료(18-18-18) 50kg을 골고루 뿌린 다음 밭갈이 및 정지하여 전층시비
가 되도록 해줌
* 자료제공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윤성환 지도사(063-238-6451)
'주간농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제12호 주간농사 정보(2018. 3. 18 ~ 3. 24) (0) | 2018.03.20 |
---|---|
◈ 농업기술 2018년 3월호 (0) | 2018.03.01 |
◈ 제9호 주간농사정보 (2018.2.25~3.03까지) (0) | 2018.02.25 |
◈ 제7호 주간농사정보 (2018. 2.11 ~ 2.17 까지) (0) | 2018.02.09 |
◈ 밀·보리·귀리 봄 파종, (0) | 2018.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