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6. 10. 19:21ㆍ약초재배
◆ 환경조건 흰민들레는 시원한 온도를 좋아하는데 (정확한 시험자료는 없지만) 대략 15~25도 정도에서 잘 자란 다고 보여진다.
◆ 외래종과 토종의 특징 서양 노랑민들레는 한 여름에도 잎이 풍성하게 그대로 있지만. 토종은 6월말이면 겉잎들은 거의 말랐 다가 9월에 시원해지면 다시 돋아난다. 겨울에는 모두 생육이 정지되어 잎들이 거의 말라 죽는다. ◆ 종자 채취 하얀 깃털이 펴지면 포대 속에 통째 따서 바람이 없는 곳에서 털고 관모를 제거하고 씨앗만 모아 잘 말 린 후 냉장고나 자연온도에 보관했다가 필요할 때 뿌린다. ◆ 씨앗 뿌림 씨앗이 작기 때문에 같은 굵기의 강모래를 5~10배로 섞어 파종상에 흩어 뿌리거나 줄사이 7~10cm 정 도로 줄뿌림하는데, 절대 흙이나 거적 같은 것을 덮으면 안 된다. 판자 같은 것으로 가볍게 눌러서 씨앗이 흙과 밀착하도록 하고 볏짚 등을 엉성하게 덮고 물을 주는 것이 좋다. 민들레는 어릴 때 생육이 늦어, 잡초로 생육이 나빠질 우려가 크기 때문에 잡초도 막고 묘도 잘 자라도 록 참나무 등 활엽수 아래서 부엽토와 땅 속 30cm 깊이의 흙을 50% 정도씩 섞은 상토를 5cm정도 깔고 파종하면 좋다. 7~15일 되어 싹이 나면 덮은 볏짚은 걷어 주고 본잎이 3~4잎 되면 본밭에 옮겨 심는다. 이때 손으로 뽑으면 뿌리가 상할 수가 있으니 미리 물을 준 뒤 모종삽으로 조심스럽게 파내어야 된다. 토종 하얀 민들레는 싹트는 것도 오래 걸리고(15~30일), 발아율도 서양민들레에 비하여 1/3 정도쯤 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플러그묘판에 뿌려 키우면 옮기고 활착하는 것이 잘되어 좋다. 플러그 묘판에 상토를 담고 한 셀에 씨 앗을 3알정도 넣고 손가락으로 가볍게 누른 후 물을 주어 발아할 때까지 그늘에 두었다가, 발아한 후 햇빛에 내어 둔다. ◆ 근삽(뿌리 꽂이) 요령 봄 일찍 민들레를 뿌리째 캐어 뿌리 상부 1/3을 잘라 심고, 남은 뿌리를 길이 5~6cm로 잘라 위아래가 바뀌지 않도록 2cm 깊이로 세워 심는데, 만약 위아래를 모를 경우는 눕혀서 심어도 문제가 되지는 않 는다. 심는 간격은 사방 15~20×15~20cm로 처음부터 넓게 심는 것이 좋다. 생육 중인 민들레 경우는 같은 방법으로 하되, 잎은 결국 말라버리므로 5cm정도만 남기고 잘라 주는 것이 좋다. ◆ 두둑준비 및 심기 심기 30일 쯤 전에 완숙퇴비를 10a당 1,500kg정도 뿌리고 깊이 갈고 로타리 하는데, 특히 민들레 뿌리는 30cm정도 되니까 깊이갈이를 하는 것이 좋다. 심는 간격은 가공용으로 이용할 때는 사방 20×15~20cm정도가 좋은데, 흰민들레 채종포일 경우는 30cm로 넓게 심는 것이 좋다. 가공용은 1년에 2번 정도 채취하나, 채종용은 한번 심어 3~5년 정도 기르기 때문이다. 웃거름은 복합비료 경우는 생육상태를 보아서 조금 주고, 초겨울에 잎이 마른 후 완숙퇴비를 흙과 섞 어서 충분히 뿌려주는 것이 좋다. ◆ 작부체계 노지와 시설재배는 장단점이 있지만 작업성, 수확량 등으로 볼 때 초기 비용이 더 들지만 시설재배가 유리하며, 특히 안전한 생산을 위하여 시설이나 노지 모두 물주는 시설이 필수이니 유념해야 한다. ◆ 수확 가공용은 정식 3개월 정도 되어 꽃이 만개하면 뿌리째 캐어 잘 씻어 목적에 따라 가공하여 이용한다.
'약초재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곰보배추재배기술 1.2 (0) | 2012.08.11 |
---|---|
◈ 곰보배추재배기술 3.4 (0) | 2012.08.11 |
◈ 할미꽃 파종 및 육묘방법 (0) | 2012.06.10 |
◈ 황칠나무의 재배지 (0) | 2011.12.02 |
◈ 피같이 키운 나무 판매 수급처 뚫기 (0) | 2011.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