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대영 교수의 ‘한국 근현대사와 기독교’
반전에 반전 거듭하는 정치적 행동양식 짚어 “역사를 공부하면서 나는 순결하게 고유한 종교의 영역이 있다고 믿지 않게 됐다. 기독교만 하더라도, 교회의 역사는 곧 정치화한 종교, 종교화한 정치의 역사였다.”
종교의 정치성를 보여주는 것으로 한국 개신교만큼 적절한 사례는 없다. 서세동점의 격변기, 이 땅에 첫 개종자를 배출한 이래 개신교는 줄곧 문명과 야만, 중화와 서방, 자본주의와 공산주의가 격돌하는 이데올로기 전쟁의 최일선에 서 있었다. <한국 근현대사와 기독교>(푸른역사)는 19세기 말의 개화당에서 21세기 뉴라이트까지, 한국의 근현대사에 새겨진 개신교의 정치적 발자취를 되짚은 책이다. 책을 쓴 류대영 한동대 교수는 말한다. “한국 개신교의 역사는 가장 종교적으로 보이는 현상도 정치·사회적 차원을 가지며, 종교적 신념과 이데올로기적 신념은 놀라우리만치 친밀도가 높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최근 한국 개신교의 정치활동은 정치적 극우파와 뚜렷한 친연성을 드러내지만, 류 교수가 볼 때 개신교의 사회참여가 처음부터 보수적 색채를 띄었던 것은 아니다. 실제 개신교 보수교단의 원류랄 수 있는 19세기 미국의 ‘복음주의’… /
![](http://img.hani.co.kr/section-image/cs/newsletter/more.gif)